ISSN 2005-7164 ( Print) / ISSN 2713-8526 (Online)

시민인문학, Vol.46 (2024)
pp.215~239

DOI : 10.22842/kgucfh.2024.46.215

東武 이제마의 易學觀 고찰

김인순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연구원(동양학대학원 동양학과 석사과정))

임병학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교수)

본 논문은 사상철학의 근간인 이제마의 역학관을 밝히기 위해, <<格致藁>>를 중심으로 <<주역>>의 내용과 사상철학의 주요 개념을 고찰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格致藁>> 제1권 「유략」에서 밝힌 文王八卦圖와 본성의 이치를 고찰하였다. 이제마는 문왕팔괘도의 중앙에 마음을 배치하고, 네 정방에는 천기유사(지방⋅인륜⋅세회⋅천시)와 천기의 소통처(이⋅목⋅비⋅구)를 배치하였다. 또 문왕팔괘도의 네 모퉁이 방위에는 인사유사(거처⋅당여⋅교우⋅사무)와 인사의 작용처(폐⋅비⋅간⋅신)를 배치하였다. 사상철학은 문왕팔괘도의 四象과 일치된 사유체계로 인간 본성의 이치를 밝히고 있다. 제3장에서는 제2권 「반성잠」의 伏羲八卦圖와 東武 太極圖를 고찰하였다. 이제마는 복희팔괘도에 근거해서 「반성잠」 각 잠의 이름을 정하고, 동무 태극도를 창안하여 팔괘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또 <<동무유고>>에서 팔괘의 의미를 확장하여 四德과 연계함으로 사상철학을 확립하였다. 제4장에서는 「반성잠」의 ‘易有太極’節과 事⋅心⋅身⋅物을 고찰하였다. 이제마는 <<주역>>의 ‘역유태극’절을 인용하여, 太極을 마음으로, 兩儀를 마음과 몸으로, 四象을 事⋅心⋅身⋅物로 정의하여 사상철학의 핵심 개념으로 삼았다. 또 태극과 양의를 사⋅심⋅신⋅물(사상)이 생성되는 바탕이자 과정으로 논하고, 팔괘를 사상의 작용으로 해석하였다.

A Study of Dongmu Lee Je-ma's I-Ching Perspective

Kim, In-Soon

Lim, Byeong-Hak

This paper examines the foundational philosophy of Lee Je-ma, which is based on the I-Ching thought in Eastern philosophy. To elucidate this, the paper explores the contents of the I-Ching as described in the Gyeokchigo and scrutinizes key concepts in the Sasang philosophy associated with it. In the first chapter, the study focused on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and the essence of nature as elucidated in Gyeokchigo Volume 1, 「Yuryak」. Lee Je-ma positions the mind at the center of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arranging the four forward dir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points of heavenly stems(Ji-bang⋅In-ryun⋅Se-hoe⋅Cheon-si) and the locations of the communication of heavenly stems (ear⋅throat⋅nose⋅mouth). Furthermore, at the four corners of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the dwellings of human activities(Sa-mu⋅Gyo-yut⋅Dang-yu⋅Jucheo) and the operational sites of human actions (lungs⋅stomach⋅liver⋅kidney) are arranged. The Sasang philosophy corresponds to the Sasang of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revealing the essence of human nature. In the third chapter, an analysis Diagram of Fúxī’s eight trigram and Diagram of DongMu Taiji in Volume 2, 「Banseongjam」, was conducted. Based on the Diagram of Fúxī’s eight trigram, Lee Je-ma assigned names to each of the chapter in 「Banseongjam」 and created the companion Taiji Diagram, imbuing new meanings into the eight trigram. The fourth chapter explores the ‘YiYou Taiji(There is in the Changes the Great Primal Beginning)’ section of 「Banseongjam」 and the four aspects of affairs⋅mind⋅ body and matter(事心身物). Citing the ‘YiYou Taiji’ section of Geukjigo, Lee Je-ma defined Taiji as the mind, YīnYáng as the mind and body, and Sasang as affairs⋅mind⋅body and matter thus establishing them as the core concepts of Sasang philosophy. Furthermore, he interprets the Taiji and YīnYáng energy as the process Sasang which affairs⋅mind⋅body and matter are generated, and interprets the eight trigram as the actions of cosmology.

Download PDF list




 
[16227]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산로 154-42번지 교수연구동 B동 530호    TEL 031-249-9131    inmun2009@hanmail.net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2016 The Kyonggi University Center for Humanities,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