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2005-7164 ( Print) / ISSN 2713-8526 (Online)

시민인문학, Vol.42 (2022)
pp.241~275

DOI : 10.22842/kgucfh.2022.42.241

한·중·일 인사대화 패턴 비교 - 동일 맥락의 일상 인사대화를 중심으로

차재은

(경기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유현아

(경기대 글로벌어문학부 중어중문전공, 부교수)

곽은심

(경기대 글로벌어문학부 일어일문전공, 조교수)

이 논문에서는 동년배 청년 남성이 영화관에서 만난 경우라는 동일 맥락을 설 정하고 화자, 청자의 친소 관계를 변수로, 한국어 인사 표현의 빈도와 구어적 특 징을 반영한 한국어 대화 패턴을 도출하고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와 일본어 인사 대화 패턴을 비교하였다. 한중일 모두 시작-전개-종결의 인사 대화 구조를 가지 고 있는데, 시작부의 대화는 ‘담화표지-호명-전형적 인사말’의 순서로 나타나며 전개부에서는 묻고 답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한 n개 이상의 화제가 등장하고 종 결부는 다음 만남을 기약하는 말이나 전형적 인사말로 끝나는 것이 공통점이었다. 화자와 청자가 친밀한 관계인 경우, 담화 표지가 더 많이 사용되고 시작부의 호칭어가 생략되거나 2인칭 대명사로 교체될 수 있고 전형적 인사말은 사용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친밀함’은 전개부에 등장하는 화제의 수와 내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보통 사이에서는 화제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나 친밀한 사이에서는 개인 적인 질문이 여러번 나타날 수 있다. 친밀한 관계에서는 종결부에 약속, 명령, 청 유 등 다음 만남을 기약하는 화행이 등장하는 반면 보통의 관계에서는 의례적 인 사말로 종결되는 경우가 많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국어 비교 화용론, L2 교육, AI 챗봇 성능 향상 등의 연구 분야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Comparis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reeting Conversation Patterns - Focusing on Daily Greeting Conversations in the Same Context

Cha Jae-eun

Yu Hyun-a

Kwak Eun-sim

In this paper, we set the same context as when two young men of similar age chance encountered at a movie theater,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s a variable, and then derived a Korean conversation pattern that reflected the frequency and colloqu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reeting expressions. Base on this induction, we compared Chinese and Japanese greeting conversation patterns. The greeting conversations of Korea, China, and Japan have the same dialogue structure as ‘start-development- end greeting’. The dialogue at the beginning appears in the order of ‘discourse marker-calling name-typical greeting’. In the development section, more than n topics appear, focusing on the question-and-answer function. In the ending part, they always say ‘look forward to seeing you again’, or other typical farewell words. It was what Korea-China-Japan greeting conversation had in common. The Friendly relationship variable determines the type of language expression or has an effect on whether to omit a specific language expression. I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re in a close relationship, the discourse marker is used frequently, and their names at the beginning can be omitted or replaced by a second-person pronoun, and typical greetings are not used. Intimacy also affects the numbers and content of topics appearing in the development part. The talking topics can be omitted in normal relationships. But personal issues may appear several times in close relationships. In the ending part of the dialogue, there are more speech acts such as appointments, commands, and requests in close relationships. While in ordinary relationships, it usually ends with ceremonial greetings.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research fields such as multilingual comparative pragmatics, L2 education, and chatbot performance improvement.

Download PDF list




 
[16227]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산로 154-42번지 교수연구동 B동 530호    TEL 031-249-9131    inmun2009@hanmail.net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2016 The Kyonggi University Center for Humanities,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