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2005-7164 ( Print) / ISSN 2713-8526 (Online)

시민인문학, Vol.42 (2022)
pp.105~120

DOI : 10.22842/kgucfh.2022.42.105

漁村 沈彦光의 문학관

김창원

(경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심언광의 문학론은 ‘문기론(文氣論)’이다. 여기서 이른바 ‘기(氣)’는 문장이나 예술 창조의 원동력인 ‘기상’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심언광의 ‘문기론’은 당대 사림파의 성정문학론으로부터 상당히 벗어나 있다. 심언광의 문학론이 당대 사 림파의 문학론과 다른 가장 중요한 차이는 문학과 도덕의 분리 즉, 문학을 도덕 에 속박지우지 않는다는 것이다. ‘문기론’은 문학의 특수성과 자율성, 그리고 개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학관 이라고 할 수 있다. 심언광의 문기론은 고려 이래로 우리나라 문인들이 견지해 왔던 전통적인 문학관의 연속선상에서, 문학에 대한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생각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 Study on Sim Eon-kwang's Literary Theory

Kim, Chang-won

Sim Eon-kwang's literary theory is 'Moonki Theory(文氣論)'. Here, the so-called ‘ki(氣)’ means ‘Kisang(氣像)’, which is the force behind the creation of literature and art. Therefore, Sim Eon-gwang's 'Moonki theory' is quite different from the Seongjeong literature theory(性情文學論) of the Sarimpa(士林派) of the time.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Shim Eon-kwang's literary theory a nd t hat o f t he c ontemporary S arimpa i s t hat l iterature a nd m orality a re separated, that is, literature is not bound by morality. The 'Moonki T heory' c an b e s aid t o b e a l iterary v iew t hat r espects t he specificity and autonomy of literature, as well as individuality and diversity. In the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al view of literature that Korean writers have maintained since Koryeo(高麗), Sim Eon-gwang's theory of literature can be seen as inheriting the most common ideas about literature.

Download PDF list




 
[16227]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산로 154-42번지 교수연구동 B동 530호    TEL 031-249-9131    inmun2009@hanmail.net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2016 The Kyonggi University Center for Humanities,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