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2005-7164 ( Print) / ISSN 2713-8526 (Online)

시민인문학, Vol.41 (2021)
pp.9~38

DOI : 10.22842/kgucfh.2021.41.009

최남선의 초기 산악 인식 연구

김재영

(고려대학교 문화유산학협동과정 민속학 전공, 박사수료생)

본 논문은 1910년대 『少年』⋅『靑春』에 나타난 최남선의 초기 산악 인식에대한 연구이다. 이 글의 분석대상은 『少年』의 7편과 『靑春』의 5편, 총 12편의글이다. 1910년대 『少年』, 『靑春』에서 최남선의 산악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다음과 같다. 최남선은 『少年』의 ‘太白’에서 백두산을 단군의 탄강지- 민족의 ‘表象’으로 보았고, 壇君을 ‘배달, 祖山’에 기초하여 유사에서부터 이해하여 檀에서 壇으로 표기 변경하였으며, 산을 조선 역사의 ‘요람이자 포태’로 판단하여 산악의 역사와조선의 역사를 동일시하여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기근대문학 및 문화· 청년담론과 고적조사보존사업 및 ‘조선’ 지역의 재영토화가 활발하였던 시대적특성과 역사적 변화 속에서 심상지리를 통한 국토애와 자기표상의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최남선의 초기산악인식은 민족의 자기정체성 구현의 일환이었음을알 수 있었다. 1910년대 산에 관한 글은 1920년대에서 1940년대에 이르는 산악저서의바탕을 이루어, 산에 대해 끊임없이 의미를 부여하며 민족의 상징을 넘어문화의 원류로 이해하는 연원이 되었다. 최남선의 1910년대 초기 산악인식이 1920년대에서 1940년대까지 이어지는 그의 산악 인식의 기저가 된 흐름과 조선 표상으로서의 山, 산악인식의 원형이 시대적 맥락 속에서 형상화된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1910년대 『少年』, 『靑春』에서 보여주는 초기산악인식은 이후 최남선의조선의 민족적 표상을 형성하는데 토대가 되었으며, 산에 대한 총체적이고집중적인 기록들은 근대지식을 생산하고 확산하는 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영향을 끼치고 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최남선의 1910년대 산악인식은 1920년대에서 1940년대에 발간된 『풍악기유』, 『심춘순례』, 『백두산근참기』, 『금강예찬』 그리고 『천산유기』, 『조선의 산수』로 이어지는 산악관련 저서에 조선 산악 인식의 전반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Choi Nam-sun’s Early Mountain Recognition Research

Kim, Jae Young

This paper is a study on Choi Nam-seon's early recognition of mountains in the 1910s 『少年』 and 『靑春』. The subject of this article's analysis is a total of 12 articles, including 7 articles in the 『少年』 and 5 chapters in the 『靑春』. The contents of the mountain of Choi Nam-sun in the 『少年』 and 『靑春』 of the 1910s are summarized as follows. Choi Nam-seon viewed Mt. Baekdu as the birthplace of Dangun-national representation in '大白' of 『少年』, and changed the notation from 檀 to 壇 after understanding 壇君 from ancient times based on 'Baedal, 祖山', and changed the mountain to 'the cradle and port‘ of the Joseon Dynasty and recognized the history of the mountains and the history of Joseon as the same. Based on this, in the period of characteristic and historical change of early modern literature, culture, youth discourse, archaeological preservation project and re- territorialization of ‘Chosun’ area, aspect of national land and self- representation appeared through image geography. It was found that Choi Nam - sun’s early mountain recognition was part of the nation’s self – identity. The writings on mountains in the 1910s formed the basis of the mountain writings from the 1920s to the 1940s, giving endless meaning to the mountains, and becoming a source of understanding not only as a symbol of the nation but also as the source of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of Nam-seon Choi's recognition of mountains in the early 1910s from the 1920s to the 1940s, which became the basis of his recognition of mountains,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prototype of mountain and mountain recognition as a representation of Joseon was shaped in the context of the times. The early mountain perception shown in the 1910s in 『少年』, 『靑春』 became the basis for forming the national representation of Chosun as Choe Nam-seon. Overall and intensive records of mountains contributed to influencing the public and forming discourse through media that produced and spread modern knowledge. Namseon Choi’s perception of mountains in the 1910s was published in the 1920s and 1940s in 『Pungak Giyu』, 『Simchun Pilgrimage』, 『Paekdu Mountain Geungeekgi』, 『Geumgang Praise』, and 『cheonsan-yugi』, which led to 『The Landscape of Jose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formed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Joseon mountain range in related books.

Download PDF list




 
[16227]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산로 154-42번지 교수연구동 B동 530호    TEL 031-249-9131    inmun2009@hanmail.net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2016 The Kyonggi University Center for Humanities, All Right reserved.